본문 바로가기

SQL 문 STUDY

SQL문 alias/연결 연산자/리터럴 문자열/대체인용연산자/중복행 및 중복제거/테이블 구조표시

개발자가 되가는 2번째 이야기

 

alias문

→ 열 머리글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음.

→ 계산에서 유용함

→ 열 이름 바로 뒤에 나옴

→ 공백이나 특수문자 포함, 혹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경우 큰 따옴표가 필요함.

 

사용 방법 : SELECT [컬럼명] AS [별칭] FROM 테이블

as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컬럼명이 SALARY*100으로 나왔겠지만

AS를 사용함으로써 SALARY로 출력되었음.

 

위의 예시처럼 AS를 생략하고 바로 뒤에 붙여줘도 컬럼명이 바뀜. 

(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으니 써주는 게 좋긴함!)

 

연결 연산자 

→ 기호 : ||

→ 각 열의 결과를 연결해 하나의 열로 결과를 표현할 수 있음

→ 문자열을 추가해 새로운 데이터를 표현하는 열을 만들 수 있음

||기호를 사용하여 manager_id와 employee_id를 연결함 (as를 통해 employees로 바꿔줌)

결과로 100과 101이 이어져서 100101로 출력되었음.

 

리터럴 문자열

→ 리터럴은 SELECT 문에 포함된 문자, 숫자, 날짜임

→ 날짜 및 문자의 리터럴 값은 작은 따옴표를 사용

→ 각 문자열은 반환되는 각 행에 한 번 출력

||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출력하여 문장 만들기 가능함.

(단, 문자열에는 작은 따옴표 활용하고, 별칭이나 컬럼명에는 큰따옴표를 활용!)

 

대체 인용 연산자(q)

 

자신의 따옴표 구분자를 지정

→ 구분자를 임의로 선택

→ 가독성이 좋음

→ 대체 인용 연산자를 사용할 경우 작은 따옴표 사용 가능

→ [ ], { }, < >, ' ' 등 모든 한쌍의 문자 사용 가능

위처럼 출력 가능

 

중복행 및 중복행 제거

DISTINCT를 사용해 중복행 제거가 가능함.

 

 

DISTINCT 외에도 GROUP BY절을 사용해 중복행 제거가 가능함.

사용 방법 : GROUP BY 컬럼명

 

차이라고 한다면

DISTINCT는 중복제거한 값을 출력하며, GROUP BY는 해당 컬럼의 그룹이 어떻게 되있는지 출력해줌.

+ GROUP BY절의 경우 속도가 빠름

 

테이블 구조 표시

→ 테이블 구조 확인 가능

→ 사용 방법 : DESCRIBE [테이블명]; 혹은 DESC[테이블명]; 

이름은 각 칼럼의 이름, 널?은 각 칼럼이 null을 허용하는지, NUMBER는 각 컬럼의 데이터 유형을 나타낸다.

NUBER는 숫자, VARCHAR2는 문자를 나타냄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