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SQL 문 STUDY

SQL문 - ROWID / ROWNUM

ROWID와 ROWNUM

 

- 주로 게시판을 만들 때 사용

- 오라클에서 테이블을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컬럼

 

ROWID : ROW 고유의 아이디(ROW를 수정해도 변하지 않음)

ROWNUM : 행의 INDEX (ROW 삭제 시 변경될 수 있음)

 

 

ROWID : 해당 데이터의 저장위치를 가리키는 요소

 

● 오브젝트 번호 (6자리)

: 해당 데이터가 속하는 오브젝트 번호

 

● 상대 파일 번호 (3자리)

: 테이블스페이스의 상대 파일번호를 의미, 각 데이터별로 유일한 값을 가짐

 

● 블록 번호 (6자리)

: 파일 안에 어느 블록인지를 의미

 

● 데이터 번호 (3자리)

: 데이터 번호는 블록별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순서

 

ROWNUM을 사용해 앞에 번호를 붙여줌.

 

 

ROWNUM 를 통해 위와 같이 사용 가능(별칭을 이용해서)

 

ROWID는 주소같은 의미라고 봐도 됨.

 

테이블 ROW의 개수를 알고 싶다면?

COUNT(*), MAX(ROWNUM), COUNT(ROWNUM)를 통해서 알 수 있음.